맨위로가기

막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 왕조는 1527년 후 레 왕조의 권신 막당중이 왕위를 찬탈하여 건국한 베트남의 왕조이다. 막 왕조는 레 왕조의 제도를 따르고 내정을 정비하는 등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레 왕조 부흥 세력과의 항쟁으로 국토가 분열되었다. 1592년 찐씨 정권에 의해 수도 하노이가 함락되고 막 마오찹이 살해되면서 멸망했지만, 잔존 세력은 까오방 지역에서 명나라와 청나라의 보호를 받으며 지방 정권으로 존속했다. 1677년 청나라의 지원을 받은 레 왕조에 의해 완전히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월 - 리 왕조
    리 왕조는 1009년에 건국되어 1225년까지 존속한 베트남의 왕조로, 하노이를 수도로 삼고 불교를 장려하며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13세기 초 쇠퇴하여 쩐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 대월 - 후 레 왕조
    후 레 왕조는 레 로이가 명나라로부터 베트남의 독립을 이루어 건국되었으나, 초기 권력 다툼과 후기 권신들의 횡포, 그리고 떠이선 봉기로 멸망하기까지 베트남 문화 예술 발전과 유교, 외교 관계를 특징으로 한다.
  • 베트남의 왕조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왕조 - 전 레 왕조
    전 레 왕조는 980년 레 호안이 건국하여 북송의 침략을 격퇴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국력 쇠퇴로 1009년 리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 베트남의 역사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역사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막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국명대월국
일반 명칭막 왕조
정식 명칭대월국
역사
건국막당중의 즉위 (1527년)
멸망까오방 함락 (1677년)
주요 사건탕롱 함락 (1592년)
후 레 왕조에 항복 (1627년)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조공국
지위명나라의 속국 (1527년–1644년)
남명의 속국 (1644년–1662년)
청나라의 속국 (1662년–1677년)
명나라의 보호를 받는 괴뢰 정부 (1592년–1662년)
청나라의 보호를 받는 괴뢰 정부 (1662년–1677년)
후 레 왕조 내의 공국 (법적) (1627년–1638년)
역대 군주초대 황제: 막당중 (1527년–1529년)
마지막 황제: 막낀부 (1638년–1677년)
수도
수도동경 (1527년–1592년)
까오방 (1592년–1677년)
언어 및 종교
공용어베트남어
종교유교, 불교, 도교, 베트남 민간 신앙, 로마 가톨릭교
통화
통화구리 합금 및 철제 동전
지도
1570년 막 왕조 (녹색)와 부흥 레 왕조 (파란색) 지도
1570년 막 왕조 (녹색)와 부흥 레 왕조(파란색) 지도
1650년경 베트남 지도, 막 왕조 (자주색)는 괴뢰 국가
1650년경 베트남 지도, 막 왕조(자주색)는 괴뢰 국가

2. 역사

16세기 후 레 왕조는 지도력을 잃은 황제가 연이어 즉위하고, 궁정 내 권력 다툼으로 혼란스러웠다. 1527년 권신 막당중(막당융, Mạc Đăng Dung|막등용vi)은 레 왕조공황을 폐위하고, 선양하는 방식으로 제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였다. 이로써 전기 레 왕조는 일시적으로 멸망하였다.[3]

막 왕조의 창시자 막당중은 쩐 왕조의 유명한 학자 막딘찌의 후손이었다.[1][2] 막당중은 군대에 입대하여 레 왕조 군대에서 최고 장군이 될 때까지 승진했다. 이후 그는 권력을 장악하여 1527년부터 1541년 사망할 때까지 베트남을 통치했다.[3]

막당중은 레 위목 황제의 보디가드로 시작했다. 여러 황제가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막당중은 자신의 권력을 키우고 많은 지지자를 얻었다. 그러나 그는 또한 권력을 위한 다른 경쟁자들의 적의를 샀다.

레 위목과 그의 후계자 레 뜨엉 득의 암살을 초래한 일련의 정치적 위기 이후, 막당중은 군대에서 계속해서 권력과 지위를 얻었다. 1516년 어린 황제 레 찌에우 통의 즉위와 함께 궁정에서 내전 수준의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 1516년부터 1520년까지 응우옌 호앙 주와 찐 주이 쌘, 응우옌 낀과 쩐 까오의 군벌들이 권력을 다투었다. 막당중은 처음에는 군벌에 대항하여 레 찌에우 통 왕에게 충성하는 군대를 이끌었고, 결국 군벌들을 격파하고 1522년 레 찌에우 통을 퇴위시키고 꼭두각시 황제 레 꿍 호앙을 즉위시킬 만큼 충분한 권력을 얻었다. 레 찌에우 통은 군벌 찐 투이의 지원을 받아 타인호아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1526년 패배하고 체포될 때까지 막당중과 싸웠다.

1527년 막당중은 레 꿍 호앙을 제거하고 자신이 명덕이라는 칭호로 새로운 막 왕조의 황제임을 선포했다. 이러한 찬탈은 정부 내 유교 관리들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일부는 살해되었고, 다른 일부는 도망가서 막 황제에 대한 새로운 반란에 참여했다.

새로운 반란은 응우옌 킴(응우옌 군주의 첫 번째인 응우옌 호앙의 아버지)과 그의 부하이자 사위인 찐 끼엠(찐 군주의 첫 번째)이 이끌었다. 그들은 레 쭝 통을 부흥 레 왕조의 황제로 즉위시키고 막당중에 저항하기 위해 타인호아와 응에안 지방에 근거지를 건설했다. 양측은 동맹을 끌어들이려고 노력했는데, 주로 명나라였지만, 란상(오늘날의 라오스)의 포티사랏 왕으로부터도 지원을 받았다. 막당중은 복종적인 외교와 대규모 뇌물을 통해 1528년 명나라가 공격하지 않도록 설득했다. 그는 1년 후 아들 막당도안에게 황제의 자리를 물려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순전히 아들의 지위를 굳건히 하기 위한 것이었고, 막당중은 ''태상황''(베트남어: Thái thượng hoàng)의 칭호로 계속 통치했다.

막 왕조 초기, 막당중은 레 왕조의 제도를 답습하여 민심을 안정시키고, 명나라와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려 노력했다. 1528년에는 전제(田制)와 병제를 정비하고 화폐를 주조하는 등 내정 개혁에도 힘썼다. 1530년 막당중에게서 제위를 물려받은 막당조아인은 법령을 정비하고 조세 부담을 줄여 국력을 안정시키는 등 막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1]

그러나 막 왕조는 레 왕조 부흥을 꿈꾸는 반대 세력의 저항에 직면해야 했다. 응우옌낌레짱똥을 옹립하고 라오스의 지원을 받아 반 막 왕조 운동을 전개했다. 또한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레짱똥의 정통성을 확인받고 막당중에 대한 토벌군 출병을 요청하는 등 외교전을 펼쳤다.[1]

당시 명나라는 가정제 시대로, 모백온을 파견하여 막 왕조와 교섭했다. 막당중은 국내 반대 세력의 배반을 우려하여 명나라에 항복했고, 명나라는 막당중을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에 임명했다.[1] 이로써 명나라와의 관계는 개선되었지만, 국내 반대 세력은 더욱 강성해져 베트남은 사실상 막 왕조와 반막 세력으로 양분되었다.[1][2][3]

남부에서 레 왕조 부흥 세력은 점차 힘을 키워 홍강 이남 지역을 장악했다. 1533년 레 장종이 떠이도 성에서 즉위하면서 남북조 시대가 시작되었고, 이후 40년간 내전이 이어졌다.

1540년 막당조아인이 사망하고 막당중이 다시 왕위에 올랐다. 명나라는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여 막당중을 위협했고, 막당중은 중국에 굴복하여 영토를 할양하고 지위가 강등되는 등 가혹한 요구를 따랐다.[4][5] 명나라는 막 왕조와 레 왕조 모두에게 조공을 받았고, 응우옌(Nguyễn)과 찐(Trịnh)은 이러한 상황을 받아들이지 않고 전쟁을 계속했다.

1541년 막당중이 사망하고 손자 막 푹 하이(Mạc Phúc Hải)가 뒤를 이었다. 막 푹 하이는 6년 동안 통치하다가 질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찐(Trịnh) 군대에 패하여 더 많은 영토를 잃었다. 그는 삼촌 막 찐 쭝과 왕위를 다투어야 했던 막 푹 응우옌 (1546년부터 1561년까지 통치)에게 계승되었다. 1561년, 그는 천연두로 사망했다.

막 마우 홉은 왕위를 계승하여 1562년부터 1592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마지막 주요 막 통치자였다. 1572년에 수도는 찐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그는 1년 후 다시 탈환했다. 그 후, 1592년에 찐 뚱이 북부를 대대적으로 침공하여 하노이와 북부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했다. 막 마우 홉은 후퇴하는 동안 붙잡혀 사흘 동안 찢겨 죽었다. 막 왕조는 북부 베트남 대부분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고, 까오 방 성 주변 지역만 명나라 군대의 형식적인 보호를 받으며 유지했다.

1592년, 새로운 막 왕조의 지도자는 막 낑 지(Mạc Kính Chỉ)였다. 그는 대규모 군대를 모아 찐 뚱(Trịnh Tùng)의 군대를 격파했지만, 1년 후 그와 그의 군대는 찐 뚱 휘하의 새로운 찐 군대에 의해 전멸했다. 이후 그의 형제 막 낑 꿍(Mạc Kính Cung)은 까오방 성으로 물러나 30년 이상 통치했다(1593–1625). 막 군대는 반 닌(Van Ninh, 꽝닌 성)을 거점으로 삼아 찐에 대한 수많은 공격을 감행했다. 찐은 응우옌(Nguyễn)에게 지원을 요청하여 받았고, 연합군(응우옌 호앙과 함께)은 막을 격파했다.

1598년, 또 다른 명나라 관리가 막 왕조가 까오방 성을 다스린다고 선언했고, 막 통치자들은 이 보호 구역에 머물면서 때때로 찐이 통제하는 베트남을 습격했다.

1627년, 레(Lê) 군대가 까오방을 공격했고, 막 통치자 막 낑 콴은 항복하여 레 왕조로부터 '통 꿁 꽁'(Thông quốc công)이라는 칭호를 받아들여 막 왕조의 영토를 레 왕조의 공작령으로 축소했다.

이후 막 왕조는 청나라의 보호 아래 1677년까지 지방 정권으로 존속했다.[8][9] 강희제는 레 왕조와 막 왕조 간의 평화를 협상하려 했다.[9] 레 왕조가 청나라의 허가 없이 까오방 성을 공격하여 점령하자, 강희제는 1667년에 찐똭에게 까오방 성을 막 왕조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9] 1673년, 청나라는 막 왕조를 대신하여 분쟁을 중재하는 데 관심을 잃었다.[9] 1677년, 중국 남부에서 일어난 삼번의 난은 청나라가 레 왕조의 지원을 받도록 했고, 레 왕조는 막 왕조가 반군에 가담했다고 비난했다.[9] 강희제와 그의 고문들은 막낑부가 중국 광시로 도망치자 그를 체포하는 데 동의했고, 이는 막 왕조의 종말을 초래했다.[9]

붉은색과 금색 칠을 한 나무로 만든 관세음보살상 (16세기)


막 왕조 용머리, 돌


1597년 레 왕조에 패한 후 1640년 막 왕조의 영토

2. 1. 건국

16세기 후 레 왕조는 지도력을 잃은 황제가 이어졌고, 궁정 내 권력 다툼으로 혼란스러웠다. 그러한 가운데 1527년 권신 막당중(막당융, Mạc Đăng Dung|막등용vi)은 레 왕조공황을 폐위하고, 선양하는 방식으로 제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였다. 이로써 전기 레 왕조는 일시적으로 멸망하였다.[3]

막 왕조의 창시자 막당중은 쩐 왕조의 유명한 학자 막딘찌의 후손이었다.[1][2] 막당중은 군대에 입대하여 레 왕조 군대에서 최고 장군이 될 때까지 승진했다.

막당중은 레 위목 황제의 보디가드로 시작했다. 여러 황제가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막당중은 자신의 권력을 키우고 많은 지지자를 얻었다. 그러나 그는 또한 권력을 위한 다른 경쟁자들의 적의를 샀다.

레 위목과 그의 후계자 레 뜨엉 득의 암살을 초래한 일련의 정치적 위기 이후, 막당중은 군대에서 계속해서 권력과 지위를 얻었다. 1516년 어린 황제 레 찌에우 통의 즉위와 함께 궁정에서 내전 수준의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 1516년부터 1520년까지 응우옌 호앙 주와 찐 주이 쌘, 응우옌 낀과 쩐 까오의 군벌들이 권력을 다투었다. 막당중은 처음에는 군벌에 대항하여 레 찌에우 통 왕에게 충성하는 군대를 이끌었고, 결국 군벌들을 격파하고 1522년 레 찌에우 통을 퇴위시키고 꼭두각시 황제 레 꿍 호앙을 즉위시킬 만큼 충분한 권력을 얻었다. 레 찌에우 통은 군벌 찐 투이의 지원을 받아 타인호아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1526년 패배하고 체포될 때까지 막당중과 싸웠다.

1527년 막당중은 레 꿍 호앙을 제거하고 자신이 명덕이라는 칭호로 새로운 막 왕조의 황제임을 선포했다. 이러한 찬탈은 정부 내 유교 관리들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일부는 살해되었고, 다른 일부는 도망가서 막 황제에 대한 새로운 반란에 참여했다.

새로운 반란은 응우옌 킴(응우옌 군주의 첫 번째인 응우옌 호앙의 아버지)과 그의 부하이자 사위인 찐 끼엠(찐 군주의 첫 번째)이 이끌었다. 그들은 레 쭝 통을 부흥 레 왕조의 황제로 즉위시키고 막당중에 저항하기 위해 타인호아와 응에안 지방에 근거지를 건설했다. 양측은 동맹을 끌어들이려고 노력했는데, 주로 명나라였지만, 란상(오늘날의 라오스)의 포티사랏 왕으로부터도 지원을 받았다. 막당중은 복종적인 외교와 대규모 뇌물을 통해 1528년 명나라가 공격하지 않도록 설득했다. 그는 1년 후 아들 막당도안에게 황제의 자리를 물려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순전히 아들의 지위를 굳건히 하기 위한 것이었고, 막당중은 ''태상황''(베트남어: Thái thượng hoàng)의 칭호로 계속 통치했다.

2. 2. 발전

막당중은 즉위 직후 레 왕조의 제도를 답습하여 민심의 통일을 도모함과 동시에, 명나라 사신의 검증 등 국내에서의 제위 찬탈에 대한 동요를 차단시키는 정책을 실시했다. 한편 1528년 레 왕조의 전제(田制)나 병제를 새롭게 정비하였고, 또 화폐 주조를 실시하는 등 내정을 정비하는데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1] 1530년에 막당중으로부터 제위를 받은 막당조아인은 법령을 정비해, 조세 부역을 경감한 것으로 국력이 안정되어 막 왕조의 전성기를 만들었다.[1]

전성기를 맞이한 막 왕조는 레 왕조 부흥을 꿈꾸는 반대 세력이 존재하여 레 왕조 영토 3분의 2를 지배하고 나머지는 막 왕조의 통치력이 미치지 않았다.[1] 막 왕조와 항쟁을 펼친 인물이 응우옌낌이다. 똥선(Tống Sơn) 출신으로 레 왕조의 옛 신하인 응우옌낌은 막 왕조가 건국하면서 라오스 방면으로 피해서 라오스 국왕의 지원을 받고 반 막 왕조 운동을 전개하였고, 레짱똥을 옹립하여 막 왕조에 대항했다.[1] 또 응우옌낌은 명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레짱똥의 정통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찬탈자인 막당중에 대한 토벌군 출병을 하는 등의 외교 작전을 전개했다.[1]

당시 명나라는 가정제가 통치하는 시대였고, 명나라는 마오보원(모백온)을 파견해, 막 왕조가 항복하면 신속하게 토벌 하는 것과 화전을 두 경우를 고려하여 교섭을 하였다.[1] 이 시기 막당중이 사망하고, 그 아들인 막푹하이(Mạc Phúc Hải)가 즉위 하고 있었지만, 조정의 실권을 장악 하고 있던 상왕 막당중은 국내의 반대 세력이 배반을 두려워하여 명나라에 신속하게 항복에 결정하자,[1] 명나라는 막당중의 항복을 인정하여 막당중을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에 임명하였다.[1] 이 사건으로 명나라의 대립 관계를 개선한 막 왕조이지만, 국내의 반대 세력은 세력이 강대해져서 사실상 베트남은 막조와 반막세력으로 양분되는 상황이 발생했다.[1]

2. 3. 남북조 시대

막당중은 즉위 직후 레 왕조의 제도를 답습하여 민심의 통일을 도모함과 동시에, 명나라 사신의 검증 등 국내에서의 제위 찬탈에 대한 동요를 차단시키는 정책을 실시했다. 한편 1528년 레 왕조의 전제(田制)나 병제를 새롭게 정비하였고, 또 화폐 주조를 실시하는 등 내정 정비에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1530년에 막당중으로부터 제위를 받은 막당조아인(막당중의 아들)은 법령을 정비해, 조세 부역을 경감한 것으로 국력이 안정되는 막 왕조의 전성기를 만들었다.

전성기를 맞이한 막 왕조는 레 왕조 부흥을 꿈꾸는 반대 세력이 존재하여 레 왕조 영토를 3분의 2를 지배하고 나머지는 막 왕조의 통치력이 미치지 않았다. 막 왕조와 항쟁을 펼친 대표적인 인물은 응우옌낌이다. 똥선(Tống Sơn) 출신으로 레 왕조의 옛 신하인 응우옌낌은 막 왕조가 건국하면서 라오스 방면으로 피해서 라오스 국왕의 지원을 받고 반 막 왕조 운동을 전개하였고, 레짱똥을 옹립하여 막 왕조에 대항했다. 또 응우옌낌은 명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레짱똥의 정통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찬탈자인 막당중에 대한 토벌군 출병을 하는 등의 외교 작전을 전개했다.

당시 명나라는 가정제가 통치하는 시대였고, 명나라는 모백온을 파견해, 막 왕조가 항복하면 신속하게 토벌 하는 것과 화전을 두 경우를 고려하여 교섭을 하였다. 이 시기 막당중이 사망하고, 그 아들인 막푹하이(Mạc Phúc Hải)가 즉위 하고 있었지만, 조정의 실권을 장악 하고 있던 상왕 막당중은 국내의 반대 세력이 배반을 두려워하여 명나라에 신속하게 항복에 결정하자, 명나라는 막당중의 항복을 인정하여 막당중을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에 임명하였다. 이 사건으로 명나라의 대립 관계를 개선한 막 왕조이지만, 국내의 반대 세력은 세력이 강대해져서 사실상 베트남은 막조와 반막세력으로 양분되는 상황이 발생했다.[1][2][3]

남부에서 부흥 레(Revival Lê)의 반란은 세력을 키워갔고, 이후 3년 동안 홍강 이남의 모든 지방이 레(Lê)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1533년, 꼭두각시 레 황제인 레 장종(Lê Trang Tông)이 탈환한 떠이도 성에서 공식적으로 즉위했다. 이는 남북조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레(Lê)와 막(Mạc)은 이후 40년 동안 길고 긴 내전을 계속하게 된다.

1540년, 막당조아인(Mạc Đăng Doanh)이 사망하고 막 당 중(Mạc Đăng Dung)이 다시 왕위를 차지했다. 명나라는 광시에서 베트남을 침략할 11만 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막 당 중(Mạc Đăng Dung)을 위협했다. 막(Mạc)은 중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중국 관리 앞에서 맨발로 기어가고, 중국에 영토를 할양하며, 황제의 지위를 도통사(''Đô thống sứ'' 都統使)로 강등시키고, 세금 장부와 같은 공식 문서를 명나라에 넘기는 등 중국의 가혹한 요구를 따랐다.[4][5] 명나라의 공식 입장은 막(Mạc)이 베트남 북부를 통치하고, 레(Lê)가 남부를 통치하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홍강 이남). 응우옌(Nguyễn)과 찐(Trịnh)은 이러한 국가 분할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전쟁은 계속되었다.

1541년, 막 당 중(Mạc Đăng Dung)이 사망하고 손자 막 푹 하이(Mạc Phúc Hải)가 뒤를 이었다.

2. 4. 지방 정권으로의 전락

막당중은 즉위 직후 레 왕조의 제도를 답습하여 민심을 통일하고, 명나라 사신의 검증 등으로 인한 왕위 찬탈의 동요를 막는 정책을 실시했다. 1528년 레 왕조의 전제(田制)나 병제를 새롭게 정비하고, 화폐 주조를 실시하는 등 내정 정비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1530년 막당중에게서 왕위를 물려받은 막당조아인은 법령을 정비하고 조세 부담을 줄여 국력을 안정시켜 막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전성기에도 막 왕조는 레 왕조 부흥을 꿈꾸는 반대 세력 때문에 영토의 3분의 2만 지배했을 뿐, 나머지 지역에는 통치력이 미치지 못했다. 막 왕조와 항쟁을 벌인 대표적인 인물은 응우옌낌이다. 레 왕조의 옛 신하였던 응우옌낌은 막 왕조 건국 후 라오스로 피신해 라오스 국왕의 지원을 받으며 반 막 왕조 운동을 전개했고, 레짱똥을 옹립하여 막 왕조에 대항했다. 응우옌낌은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레짱똥의 정통성을 확인받고, 찬탈자인 막당중에 대한 토벌군 출병을 요청하는 등 외교전을 펼쳤다.

당시 명나라는 가정제가 통치하던 시기로, 명나라는 모백온을 파견해 막 왕조가 항복하면 토벌하고, 그렇지 않으면 화친하는 두 가지 경우를 고려하며 교섭했다. 이 시기 막당중이 사망하고 아들 막푹하이가 즉위했지만,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상왕 막당중은 국내 반대 세력의 배반을 두려워하여 명나라에 항복하기로 결정했다. 명나라는 막당중의 항복을 인정하여 그를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에 임명했다. 이 사건으로 명나라와의 대립 관계는 개선되었지만, 국내 반대 세력은 더욱 강성해져 사실상 베트남은 막 왕조와 반막 세력으로 양분되었다.

반막 세력을 대표하던 응우옌낌은 1543년 부하에게 독살되었고, 그 실권은 찐낌이 차지했다. 막 왕조에서는 막푹응우옌, 막머우헙이 즉위하여 찐씨 일족과 항쟁을 계속했다. 1592년 찐뚱은 마침내 하노이를 함락하고 막머우헙을 살해했다.

그러나 막 왕조의 잔당은 이후 청나라의 보호 아래 1677년까지 지방 정권으로 존속하였다.[8][9] 강희제는 레 왕조와 막 왕조 간의 평화를 협상하려 했다.[9] 레 왕조가 청나라의 허가 없이 까오방 성을 공격하여 점령하자, 강희제는 1667년에 찐똭에게 까오방 성을 막 왕조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9] 1673년, 청나라는 막 왕조를 대신하여 분쟁을 중재하는 데 관심을 잃었다.[9] 1677년, 중국 남부에서 일어난 삼번의 난은 청나라가 레 왕조의 지원을 받도록 했고, 레 왕조는 막 왕조가 반군에 가담했다고 비난했다.[9] 강희제와 그의 고문들은 막낑부가 중국 광시로 도망치자 그를 체포하는 데 동의했고, 이는 막 왕조의 종말을 초래했다.[9]

3. 명나라 및 청나라와의 관계

막당중은 즉위 직후 레 왕조의 제도를 답습하여 민심을 안정시키고, 명나라 사신의 검증 등 국내의 혼란을 막는 정책을 실시했다. 1528년에는 레 왕조의 전제(田制)와 병제를 개혁하고 화폐를 주조하는 등 적극적으로 내정을 정비했다. 1530년 막당중에게서 제위를 물려받은 막당조아인은 법령을 정비하고 조세 부담을 줄여 막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전성기에도 막 왕조는 레 왕조 부흥을 꿈꾸는 세력의 도전을 받았다. 레 왕조의 옛 신하였던 응우옌낌은 라오스로 피신해 라오스 국왕의 지원을 받으며 반(反) 막 왕조 운동을 전개했고, 레짱똥을 옹립하여 막 왕조에 대항했다. 응우옌낌은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레짱똥의 정통성을 인정받고, 찬탈자인 막당중을 토벌하기 위한 군사 지원을 요청하는 외교전을 펼쳤다.[1][2][3]

당시 명나라는 가정제가 통치하고 있었으며, 모백온을 파견해 막 왕조와 협상했다. 명나라는 막 왕조가 항복하면 토벌하고, 저항하면 전쟁을 벌일 계획이었다. 막당중이 사망하고 아들 막푹하이가 즉위했지만, 실권을 쥔 상왕 막당중은 국내 반대 세력의 배반을 우려해 명나라에 항복했다. 명나라는 막당중의 항복을 인정하고 그를 안남도통사에 임명했다. 이로써 막 왕조는 명나라와의 관계를 개선했지만, 국내 반대 세력은 더욱 강성해져 베트남은 사실상 막 왕조와 반 막 세력으로 양분되었다.[4][5]

1540년, 막당조안(막푹하이의 다른이름)이 사망하고 막당중이 다시 왕위에 올랐다. 명나라는 11만 대군을 광시에 집결시켜 막당중을 압박했다. 막당중은 중국 관리 앞에서 맨발로 기어가고, 중국에 영토를 할양하며, 황제 지위를 도통사로 낮추고, 세금 장부 등 공식 문서를 명나라에 넘기는 등 굴욕적인 요구를 수용했다.[4][5] 명나라는 막 왕조가 베트남 북부를, 레 왕조가 남부를 통치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응우옌과 찐은 이를 거부하고 전쟁을 계속했다.

1541년 막당중이 사망하고 손자 막푹하이가 뒤를 이었다. 1592년 막 왕조의 지도자 막낀찌는 대규모 군대를 일으켜 찐뚱의 군대를 격파했지만, 1년 후 찐뚱이 이끄는 새로운 찐 군대에 의해 전멸당했다. 막낀찌의 형제 막낀꿍은 까오방 성으로 후퇴하여 30년 이상(1593~1625) 통치했다. 막 군대는 반닌(Van Ninh, 꽝닌 성)을 거점으로 찐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고, 찐은 응우옌 호앙의 지원을 받아 막을 격파했다.

1598년, 명나라 관리는 막 왕조가 까오방 성을 다스린다고 선언했고, 막 왕조는 이 지역에 머물며 찐이 통치하는 베트남을 공격했다.

1627년, 레 군대가 까오방을 공격하자 막 왕조의 통치자 막낑콴은 항복하고 레 왕조로부터 '통꿕꽁(Thông quốc công)' 칭호를 받아들여 막 왕조의 영토를 레 왕조의 공작령으로 축소했다.

남명 멸망 후, 청나라는 레-막 분쟁의 중재자가 되어 양측으로부터 조공을 받았다.[8][9] 강희제는 양국 간 평화를 중재하려 했다.[9] 레가 청나라 허가 없이 까오방 성을 공격하여 점령하자, 강희제는 1667년 찐똭에게 까오방 성을 막 왕조에 반환하라고 요구했다.[9] 1673년, 청나라는 막 왕조를 대신하여 분쟁을 중재하는 데 관심을 잃었다.[9] 1677년, 중국 남부에서 삼번의 난이 일어나자 청나라는 레의 지원을 받았고, 레는 막 왕조가 반란에 가담했다고 비난했다.[9] 강희제와 그의 고문들은 막낑부가 중국 광시로 도망치자 그를 체포하는 데 동의했고, 이는 막 왕조의 종말을 가져왔다.[9]

레 왕조는 인정과 군사적 보호를 대가로 명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었다.[6][7][8] 명나라는 1537년부터 막 왕조에 대항하는 레 왕조에 군사 지원을 제공했다.[8] 1540년 막 왕조가 명나라에 항복한 후, 명나라는 레 왕조의 독립 왕국 지위를 박탈하고 ''도통사''로 재분류했다.[8] 1540년 이후 명나라는 레 왕조와 막 왕조 양쪽으로부터 조공을 받았으며, 이 상황은 남명이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고, 이후 양측은 청나라의 조공국이 되었다.[8][9]

4. 역대 군주

막 왕조의 역대 군주에 대한 내용은 막 왕조의 역대 황제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1533년, 레 장 통이 떠이도 성에서 남북조 시대의 시작을 알리며 즉위한 후, 홍강 이남의 모든 지방은 레(Lê)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레(Lê)와 막(Mạc)은 이후 40년 동안 내전을 계속하였다.

1540년, 막 당 도안이 사망하고 막 당 중이 다시 왕위를 차지했다. 명나라광시에서 11만 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베트남 침략을 위협했고, 막 당 중은 이에 굴복하여 중국에 영토를 할양하고 황제의 지위를 도통사(''Đô thống sứ'' 都統使)로 강등시키는 등 가혹한 요구를 따랐다.[4][5] 응우옌(Nguyễn)과 찐(Trịnh)은 명나라가 제시한 국가 분할을 거부했고, 전쟁은 계속되었다.

1541년, 막 당 중이 사망하고 손자 막 푹 하이가 뒤를 이었다. 막 푹 하이는 6년 동안 통치하다가 질병으로 사망했고, 막 푹 응우옌 (1546년 ~ 1561년)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나 삼촌 막 찐 쭝과의 왕위 다툼을 겪었다. 1561년, 막 푹 응우옌은 천연두로 사망했다.

막 마우 홉은 1562년부터 1592년까지 통치한 마지막 주요 막 통치자였다. 1572년 찐(Trịnh) 군대에 의해 수도가 점령되었으나 1년 후 탈환하였다. 1592년, 찐 뚱의 대대적인 침공으로 하노이를 비롯한 북부 지역 대부분을 상실하였고, 막 마우 홉은 사로잡혀 처형되었다. 이후 막 왕조는 까오 방 성 주변 지역만을 명나라의 보호를 받으며 유지했다.

4. 1. 탕롱(Thăng Long)의 막 왕조



막 왕조의 창시자는 유명한 쩐 왕조 학자 막 딘 찌의 후손이었다.[1][2] 막 당 중은 군대에 입대하여 레 왕조 군대에서 최고 장군이 될 때까지 승진했다. 이후 그는 권력을 장악하여 1527년부터 1541년 사망할 때까지 베트남을 통치했다.[3]

막 당 중은 1506년경, 인기가 없었던 레 황제 레 위 목의 보디가드로 시작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황제가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막 당 중은 자신의 권력을 키우고 많은 지지자를 얻었다. 그러나 그는 또한 권력을 위한 다른 경쟁자들의 적의를 샀다.

레 위 목과 그의 후계자 레 뜨엉 득의 암살을 초래한 일련의 정치적 위기 이후, 막 당 중은 군대에서 계속해서 권력과 지위를 얻었다. 1516년 어린 황제 레 찌에우 통의 즉위와 함께, 궁정에서 내전 수준의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 1516년부터 1520년까지 응우옌 호앙 주와 찐 주이 쌘, 응우옌 낀과 쩐 까오의 군벌들이 권력을 다투었다. 막 당 중은 처음에는 군벌에 대항하여 레 찌에우 통 왕에게 충성하는 군대를 이끌었고, 결국 군벌들을 격파하고 1522년 레 찌에우 통을 퇴위시키고 꼭두각시 황제 레 꿍 호앙을 즉위시킬 만큼 충분한 권력을 얻었다. 레 찌에우 통은 군벌 찐 투이의 지원을 받아 타인 호아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1526년 패배하고 체포될 때까지 막 당 중과 싸웠다.

1527년 막 당 중은 레 꿍 호앙을 제거하고 자신이 명덕이라는 칭호로 새로운 막 왕조의 황제임을 선포했다. 이러한 찬탈은 정부 내 유교 관리들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일부는 살해되었고, 다른 일부는 도망가서 막 황제에 대한 새로운 반란에 참여했다.

새로운 반란은 응우옌 킴 (후에 남부 베트남을 통치하게 된 응우옌 호앙의 아버지)과 그의 부하이자 사위인 찐 끼엠 (후에 북부 베트남을 통치하게 된 찐 군주의 첫 번째)이 이끌었다. 그들은 레 쭝 통을 부흥 레 왕조의 황제로 즉위시키고 막 당 중에 저항하기 위해 타인 호아와 응에 안 지방에 근거지를 건설했다. 양측은 동맹을 끌어들이려고 노력했는데, 주로 명나라였지만, 란상 (오늘날의 라오스)의 포티사랏 왕(Photisarath I)으로부터도 지원을 받았다. 막 당 중은 복종적인 외교와 대규모 뇌물을 통해 1528년 명나라가 공격하지 않도록 설득했다. 그는 1년 후 아들 막 당 도안에게 황제의 자리를 물려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순전히 아들의 지위를 굳건히 하기 위한 것이었고, 막 당 중은 ''태상황'' (베트남어: Thái thượng hoàng)의 칭호로 계속 통치했다.

4. 2. 까오방(Cao Bằng)의 지방 정권

1592년, 막 왕조의 새로운 지도자는 막 낑 지였다. 그는 대규모 군대를 모아 찐뚱의 군대를 격파했지만, 1년 후 그와 그의 군대는 찐뚱 휘하의 새로운 찐 군대에 의해 전멸했다. 이후 그의 형제 막 낑 꿍은 까오방 성으로 물러나 30년 이상 통치했다(1593–1625). 막 군대는 반 닌(Van Ninh, 꽝닌 성)을 거점으로 삼아 찐에 대한 수많은 공격을 감행했다. 찐은 응우옌에게 지원을 요청하여 받았고, 연합군(응우옌 호앙과 함께)은 막을 격파했다.[8][9]

1598년, 또 다른 명나라 관리가 막 왕조가 까오방 성을 다스린다고 선언했고, 막 통치자들은 이 보호 구역에 머물면서 때때로 찐이 통제하는 베트남을 습격했다.

1627년, 레(Lê) 군대가 까오방을 공격했고, 막 통치자 막 낑 콴은 항복하여 레 왕조로부터 '통 꿁 꽁'(Thông quốc công)이라는 칭호를 받아들여 막 왕조의 영토를 레 왕조의 공작령으로 축소했다.

남명이 멸망한 후, 청나라는 레-막 분쟁의 중재자가 되었고 양측으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강희제는 두 국가 간의 평화를 협상하려 했다. 레가 청나라의 허가 없이 까오방 성을 공격하여 점령하자, 강희제는 1667년에 찐똭에게 까오방 성을 막 왕조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 1673년, 청나라는 막 왕조를 대신하여 분쟁을 중재하는 데 관심을 잃었다. 1677년, 중국 남부에서 일어난 삼번의 난은 청나라가 레의 지원을 받도록 했고, 레는 막 왕조가 반군에 가담했다고 비난했다. 강희제와 그의 고문들은 막 낑 부가 중국 광시로 도망치자 그를 체포하는 데 동의했고, 이는 막 왕조의 종말을 초래했다.

5. 연호

연호기간
명덕1527년 - 1529년
대정1530년 - 1540년
광화1541년 - 1546년
영정1547년
경력1548년 - 1553년
광보1554년 - 1561년
순복1562년 - 1566년
숭강1566년 - 1578년
연성1578년 - 1585년
단태1586년 - 1587년
흥치1588년 - 1590년
홍녕1591년 - 1592년
무안1592년
보정1592년 - 1593년
강우1593년
건통1593년 - 1625년
융태1618년 - 1625년
순덕1638년 - 1677년
영창1677년 - 1681년


참조

[1] 서적 Taylor, p. 232
[2] 서적 Lockhart & Duiker, p. 229
[3] 문서 Hodgkin
[4] 서적 Dardess, p. 5
[5] 문서 Yamazaki
[6] 간행물 Le Loi Britannica
[7] 논문 Asymmetry and China's Tributary System
[8] 논문 Perspectives on the 1540 Mac Surrender to the Ming
[9] 서적 Ming China and Vietnam: Negotiating Borders in Early Modern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